본문 바로가기

Coding64

Linux - 권한 (setUID, umask...) (3) [2022년 11월 20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이제 권한 마지막이다 ㅎㅎ권한(1)에서 설명을 안한 특수권한과 umask에 대해 정리해보겠다!특수 권한s,S,t,T 이걸 어떤 파일에서 볼수 있냐면. 흠...ll /bin/passwd보면 owner 칸에 rws 가 보일것이다. 이것이 바로 특수 권한이다! 특수권한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.특수권한허가권 문자허가권 숫자setUIDrws rwx rwx4777setGIDrwx rws rwx2777sticky bitrwx rwx rwt1777각각의 특수권한을 봐보자!setUID파일이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Owner의 권한을 줌. stickybit-디렉토리에 설정-해당 디렉토리 내부에서 디렉토리나 파일을 만드는 것은 가.. 2025. 9. 30.
Linux - 권한 (소유권, chown) (2) [2022년 11월 20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저번 시간 허가권에 이어서 소유권에 대해 알아보고 적용되는 방식을 정리해보자!!소유권소유권도 ls -l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.root root 부분이다.앞에 root뒤에 rootUID 소유자 계정명GID 소유하는 그룹 그룹명 소유권도 허가권과 마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ㅎㅎ 명령어(옵션) 권한값대상 (대상) ... (대상)설명chownUID파일 or 디렉토리명소유권 UID 변경chownUID:GID or UID.GID파일 or 디렉토리명소유권 UID, GID 변경chownUID: or UID.파일 or 디렉토리명소유권 UID 변경, 그 UID 사용자의 GID로 지정chown:GID or .GID파일 or 디렉토리명.. 2025. 9. 30.
Linux - 권한 (1) [2022년 11월 20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오늘도 리눅스를 정리해보자!!리눅스에 있는 권한에 대해 알아보겠다.권한 :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정하는 것권한허가권소유권 권한은 크게 허가권과 소유권으로 나뉘어져있다 ㅎㅎ먼저는 허가권에 대해서 알아보자!!허가권허가권은 ls -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 그러면 파일 앞에 drwxr-xr-x. 이런 문자들이 보일 것이다.여기서 rwxr-xr-x가 허가권을 표현해준것이다.총 9홉글자로 구성되어있다.먼저 문자의 종류를 살펴보자면 ㅎㅎ.일반 권한 표현 문자설명숫자로 표현r파일 읽기: cat, head, vi, less 등의 명령어로 열람가능디렉토리 내부 확인:ls 명령어4w파일 수정하기디렉토리 내부 .. 2025. 9. 30.
Linux - 그룹 (group, gpasswd...) [2022년 11월 19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이제 그룹이다.그룹은 사용자 계정 만지는 법 배웠으면 더 쉽다고 한다.다행이다.그룹특징-그 그룹에 소속된 모든 사용자는 동일한 권한을 가짐.-관리자 계정이 만들고 자유롭게 사용 가능-일반적으로 사용자 계정을 만들면 같은 이름의 그룹이 만들어짐. 그리고 그 그룹을 주요그룹으로 사용함. 특징에 대해 알아봤고.이것도 이제 사용자 계정 처럼 파일이 존재한다.그룹과 관련된 파일내용/etc/group그룹에 일반 정보 그러면 이제 파일을 확인해보자!저번과 같이 tail -1 /etc/group 를 이용하겠다!대표사진 삭제AI 활용 설정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그러면 이런 형식의 내용이 나온다.B:x:1234:왼쪽부터 차례로 어제.. 2025. 9. 29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