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ding/Linux17 Linux - 프로그램 설치 (rpm) [2022년 11월 26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이제 rpm에 대해 알아보자!!rpm(redhat package manager):패키지를 이용한 프로그램/서비스 관리 redhat 기반의 리눅스: rpm 명령어 사용debian 기반의 리눅스: dpkg 명령어 사용 형식명령어옵션패키지명설명rpm-ivh패키지명-버전.아키텍처.rpm설치rpm-qa설치된 패키지들 확인rpm-qa | grep패키지명(검색할 이름)설치된 패키지들 중에서 찾기rpm-e패키지명(-버전.아키텍처)삭제 우선 패키지의 파일 형식을 봐보자!!vim이라는 이름을 가지 패키지 파일을 검색했다.vim-common-7.4.629-7.el7.x86_64을 분석해보도록 하자!!vim-common7.4.629-7... 2025. 9. 30. Linux - 압축, 설치 (zip, tar, yum) [2022년 11월 26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이번에는 리눅스에서의 프로그램 설치에 대해 정리해보자!!압축압축 명령어압축 해제 명령어압축 형식zipunzip.zipgzipgunzip (gzip -d).gzbzip2bunzip2 (bzip2 -d),bz2 리눅스에서의 압축방식은 크게 3가지가 존재하고 주로 'gzip'을 사용한다고 한다 ㅎㅎ그리고 윈도우랑 다른 점이 있다.1.디렉토리 압축불가.2.파일 동시에 압축불가 -> 개별 압축이됨.3.복사본 압축x -> 원본 압축 그러면 한번 써보자!!이때 대상의 이름을 확장자 까지 써야한다.잘 압축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ㅎㅎtar-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준다. 프로그램 소스파일들을 압축해서 보낼때 사용.명령어.. 2025. 9. 30. Linux - 권한 (setUID, umask...) (3) [2022년 11월 20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이제 권한 마지막이다 ㅎㅎ권한(1)에서 설명을 안한 특수권한과 umask에 대해 정리해보겠다!특수 권한s,S,t,T 이걸 어떤 파일에서 볼수 있냐면. 흠...ll /bin/passwd보면 owner 칸에 rws 가 보일것이다. 이것이 바로 특수 권한이다! 특수권한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.특수권한허가권 문자허가권 숫자setUIDrws rwx rwx4777setGIDrwx rws rwx2777sticky bitrwx rwx rwt1777각각의 특수권한을 봐보자!setUID파일이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Owner의 권한을 줌. stickybit-디렉토리에 설정-해당 디렉토리 내부에서 디렉토리나 파일을 만드는 것은 가.. 2025. 9. 30. Linux - 권한 (소유권, chown) (2) [2022년 11월 20일 학습 기록]제 예전 블로그에 있던 내용을 이전한 포스트입니다. 저번 시간 허가권에 이어서 소유권에 대해 알아보고 적용되는 방식을 정리해보자!!소유권소유권도 ls -l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.root root 부분이다.앞에 root뒤에 rootUID 소유자 계정명GID 소유하는 그룹 그룹명 소유권도 허가권과 마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ㅎㅎ 명령어(옵션) 권한값대상 (대상) ... (대상)설명chownUID파일 or 디렉토리명소유권 UID 변경chownUID:GID or UID.GID파일 or 디렉토리명소유권 UID, GID 변경chownUID: or UID.파일 or 디렉토리명소유권 UID 변경, 그 UID 사용자의 GID로 지정chown:GID or .GID파일 or 디렉토리명.. 2025. 9. 30. 이전 1 2 3 4 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