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Coding/Linux

Linux - vi (2)

by ZaRi 2025. 9. 29.

[2022년 11월 16일 학습 기록]
제 예전 블로그에 있던 내용을 이전한 포스트입니다.

 

오늘 vi프로그램 정리를 끝내보자 ㅎㅎ

정말 느끼는 건데 이거 진짜 어케 다 외우지.

공부하면서 앞에 내용을 많이 까먹는 것 같다.

그래도 노력해야지!!!

어쨌든 마저 정리해보자!!


-실행 모드-

명령모드에서 실행모드 넘어가는 법: /, ?, :

1.줄 번호 출력/숨기기

실행 모드 입력
설명
:set nu
줄 번호 매기기
:set nonu
줄 번호 없애기

 

이거는 눈에 보이는 차이가 많기에 해보면서 하자!!

저번 시간에 만들어 두었던 ini 파일을 vi로 열어서

:set nu를 입력해보자!!

:를 누르면

보는 것과 같이 아래 칸에 입력할수 있는 칸이 나온다.

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

번호가 잘 매겨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이제 반대로 번호를 지워보자!!

:set nonu

보는 것과 같이 줄번호가 사리진 것을 알 수 있다 ㅎㅎ

 

줄 번호는 내용을 찾고 바꾸는 범위를 정할때 사용된다.


2. 검색(찾기)

실행 모드 입력
설명
/검색할내용(pattern)
커서기준 아래방향로 검색
?검색할내용(pattern)
커서기준 위방향으로 검색

 

*추가적인 입력

n
기존 검색 방향으로 다음 검색
N
기존 검색 방향과 반대로 다음 검색

 

 

검색을 위해 몇개의 같은 단어를 넣어보자!!

y + w를 이용해 복사후 p를 통해

ETH을 곳곳에 넣어놨다. 이렇게 많은 코인이 내 손에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

이제 ?을 이용한 검색을 해보자!!

 

?ETH

그러면 가장 아래에 있는 ETH이 검색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이제 n을 누르면 그 위에 있는 ETH가 검색 되고.

다시 N을 누르면 다시 아래에 있는 ETH가 검색된다.


3. 검색후 바꾸기

형식
(범위)s/검색할내용/바꿀내용/(옵션)

 

1) 범위

생략
커서가 있는 줄에서 내용 검색 후 변경
n
n번째 줄에서 내용 검색 후 변경
n1, n2
n1부터 n2번째 줄에서 내용 검색 후 변경
% or 1,$
문서 전체에 있는 내용 검색 후 변경
+ 참고) $
*이 모든 문자를 뜻하듯이 $는 모든 숫자를 뜻함.

 

2)옵션

g
한 줄에 동일한 내용이 있을시
모든 동일한 내용 다 변경.

 

이제 그러면 이것을 활용해 아까의 ETH를 전부 BTC로 바꾸어보자!!

:%s/ETH/BTC/g

전체의 범위에 ETH를 BTC로 동일한 문장에 여러개 있으면 전부다 바꾼다.

모든 ETH가 잘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ㅎㅎ

실제로 모든 이더리움이 다 비트코인으로 바뀌면 좋을 텐데.


4. 파일명, 커서위치 확인

:f
현재 파일명, 커서 위치 확인

 

이건 확인 하기 쉽게 :set nu로 줄에 번호를 매기고 해보자!!

그러면 파일명과 커서 위치까지 잘 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ㅎㅎ

 

 

5. vi 밖에 Linux 명령어 사용

:! 명령어
vi를 잠 놔두고 Linux 명령어를 동작한다.

 

우리가 많이쓰는 ls 명령어를 써보자!!

:! ls /

엔터를 누르면

원래 위에 전에 썻던 명령어도 보이는데 내가 한번 clear로 정리해서 없는 거다.

어쨌든 이렇게 보여주고 엔터를 눌러주면 다시 vi로 돌아온다!!


7. 내용 삽입

형식
설명
:.! 명령어
커서있는 줄 지우고 명령어 동작 결과 삽입
(명령어는 화면에 출려되는 명령어 ex) ls, pwd...)
:r! 명령어
커서있는 줄 아래에 명령어 동작 결과 삽입
(명령어는 화면에 출려되는 명령어 ex) ls, pwd...)
:r 파일명
커서있는 줄 아래에 해당 파일에 내용 삽입

 

+) : 기호 오른쪽 에 숫자를 입력해 그 줄을 기준으로 동작 가능 ex) :5.! ls /root/

 

실습을 해보자!!

엔터 클릭!

그러면 그 줄이 삭제되고 명령어 결과가 잘 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ㅎㅎ


7.저장, 불러오기, 종료

형태
설명
:w
저장
:w 파일명
해당 파일명으로 저장 (윈도우의 다른이름으로 저장인듯)
:q
종료
:wq
저장 후 종료
:e 파일명
현재 문서 종료 후 다른 파일 불러오기
:enew
현재 문서 종료 후 새 파일 만들기

 

+) !를 눌러 강제로 진행되게 할 수 있음!!

 

음 그러면 저장하고 새파일을 열어보자!!

:w

아래에 저장됬다고 뜬다 ㅎㅎ

그리고

:enew

새 파일이 열리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 

 

이제 마지막으로 듀얼 모니터

가 아닌 화면 분할에 대해 알아보자!!

 

8. 화면 분할

버튼
설명
Crtl + w + n
화면 분할
Crtl + w + w
분할된 화면 간 커서 이동

 

솔직히 화면 분할 쓸거면 윈도우를 쓰...읍..읍..

이거라도 준게 감지 덕지지.

그러면 화면 분할을 해보자!!

Crtl + w + n

지금 커서가 위에 있는데 아래 파일로 넘어갈려면

Crtl + w + w

잘 넘어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참고로 명령모드, 실행모드, 입력모드는 해당 커서가 있는 화면에서만 작동한다!!


이상으로 vi에디터 만드는 방법을 끝내겠다.

와 진짜 많네 ㄷㄷ

확실히 느끼는 거지만

GUI환경이 정말 혁신적이고 편하고 소중하다는게 매번 느껴지는 것 같다.

이거는 명령어 모르면 못쓴다 진짜 ㄷㄷ

 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