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번에 비트연산자에 이어, 오늘은 if 조건문과 삼항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둘은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.
if 조건문
우선 if 조건문은 파이썬을 배우셨다면 매우 익숙하실 겁니다.
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.
형태 | 설명 |
if (조건) { 종속절; } |
해당 조건이 참이면 종속절 실행 |
else if (조건) { 종속절; } |
앞에 조건이 거짓일 경우 실행 (= 파이썬의 elif) |
else { 종속절 } |
앞에 조건들이 모두 거짓일 경우 실행 |
부과 설명 | |
{ | 조건문의 시작 |
} | 조건문의 끝 |
우선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. 보면 그렇게 어려운 형태는 아닙니다.
이를 활용해서 if 조건문을 한번 작성해보겠습니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double height;
printf("키를 적어주세요: ");
scanf("%lf", &height);
if (height >= 200)
{
printf("놀이기구를 타실 수 없습니다.\n");
}
else if (height >= 140)
printf("놀이기구를 타실 수 있습니다.\n"); // 참고 한줄일 때는 {} 없어도 됩니다.
else
{
printf("놀이기구를 타실 수 없습니다.\n");
}
return 0;
}
이와 같은 코드를 만들었습니다.
키가 200이상이 참이면 놀이기구를 탈 수 없게.
키가 200이상이 거짓이고 140이상이 참일때 놀이기구 탈 수 있게.
앞에가 다 거짓이라면(140 이하인 거니까) 놀이기구 탈 수 없게.
만들었습니다.
그럼 이제 230, 170, 130 순으로 값을 넣어보겠습니다.
이와 같이 조건문에 맞게 출력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삼항연산자
삼항 연산자는 if 조건문과 비슷하게 조건을 거는 겁니다.
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.
조건식 ? (조건식이 참이면 반환) : (조건식이 거짓이면 반환) |
이를 이용해서 위에 코드를 좀 수정해서 활용해 보겠습니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double height;
printf("키를 적어주세요: ");
scanf("%lf", &height);
printf("%s", height >= 140 ? "놀이기구를 타실 수 있습니다." : "놀이기구를 타실 수 없습니다.");
return 0;
}
이번에 위에 조건을 몇개 빼서 140이상만 된다면 놀이기구를 탈 수 있게 해보았습니다.
150을 넣어보겠습니다.
150은 >= 140 이 참이기에. 앞에 써있던 놀이기구를 타실 수 있습니다. 가 출력되는 모습이었습니다.
오늘은 조건문과 삼항 연산자를 알아보았습니다.
제가 이제 코딩으로 자동매매같은 것을 만들때, 이런 조건문과 삼항 연산자를 많이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.
댓글